정부 정책 지원 전세자금대출 비교 분석
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
- 자금이 부족한 청년분들에게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대출대상 : 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, 순자산가액 3.25억원이하 무주택 세대주, 만19세이상~만34세 이하
- 대출금리 : 연 1.5%~2.1%
- 대출한도 : 최대 7천만원 이내 (임차보증금의 80%까지)
- 대출기간 : 최대 10년까지 가능
https://nhuf.molit.go.kr/FP/FP05/FP0502/FP05020301.jsp
신혼부부전용 전세자금
- 대출대상 :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원 이하, 순자산가액 3.25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, 신혼부부(혼인기간 7년 이내 또는 3개월 이내 결혼예정자)
- 대출금리 : 연 1.2% ∼ 연 2.1%
- 대출한도 : 수도권 2억원, 수도권 외 1.6억원 이내(임차보증금의 80% 이내)
- 대출기간 : 2년(4회 연장, 최장 10년 이용 가능)
https://nhuf.molit.go.kr/FP/FP05/FP0502/FP05020401.jsp
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
- 대출대상 :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(외벌이 3천5백만원 이하), 순자산가액 3.25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
(예비세대주 포함)
중소·중소·중견기업 재직자 또는 중소기업진흥공단,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 지원을 받고 있는 자
만 19세 이상 ∼ 만 34세 이하 청년 (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 맞이한 미성년자 포함, 병역의무를 이행한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자격기간을 연장하되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) - 대출금리 : 연 1.2%
- 대출한도 : 최대 1억원 이내
- 대출기간 : 최초 2년(4회 연장, 최장 10년 이용가능)
버팀목 전세자금대출
- 대출대상 :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, 순자산가액 3.25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
- 대출금리 : 연 1.8%~2.4%
- 대출한도 : 수도권 1.2억원, 수도권 외 0.8억원 이내
- 대출기간 : 2년(4회 연장, 최장 10년 이용 가능)
https://nhuf.molit.go.kr/FP/FP05/FP0502/FP05020101.jsp
주거안정 월세대출
- 대출대상 : 우대형 - 취업준비생, 희망키움통장 가입자, 근로장려금 수급자, 사회초년생, 자녀장려금 수급자, 주거급여수급자 , 일반형 -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자 중 우대형에 해당하지 않는 자
- 대출금리 : 우대형 연 1.0%, 일반형 연 2.0%
- 대출한도총 960만원 이내(월 40만원 이내)대출기간2년(2년 단위로 4회 연장가능, 최장 10년)
- 신청하는곳 : 기급e든든 홈페이지 https://enhuf.molit.go.kr 또는 은행방문(우리, 신한, 국민, 농협, 기업은행)
주거급여 지원 받기
주거안정과 주거생활 향상을 위하여 중위소득 46%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임차료 또는 주거개량을 지원합니다.
임차가구 지원
- 지원대상 : 부양의무자 소득 및 재산유무와 관계없이 신청가구의 소득과 재산만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6%(4인기준 235만원) 이하 가구를 지원합니다.
- 지원내용 : 주거안정에 필요한 임차료 지급
- 신청방법 :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접수
청년가구 지원
수급가구 내 부모와 떨어져 사는 청년 대상에게 주거급여를 별도 지급합니다.
- 지원대상 : 청년 주거급여 분리집급은 임차급여 또는 수선유지급여를 지급받는 수급가구 내 만 19세 이상 30세 미만의 미혼자녀
- 신청방법 : 주거급여 수급가구 내 가구주(부모)가 거주하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합니다.
시중은행 전세자금대출
케이뱅크 전세대출, 카카오뱅크 전월세보증금 대출, 경남은행, 부산은행, 하나은행, 중소기업은행, 신한은행, 제주은행, 국민은행, 농협은행, 우리은행 수협은행, 대구은행 등 시중은행 전세자금대출을 모두 비교해보실 수 있습니다.
https://finlife.fss.or.kr/rentsubsidy/selectRentSubsidy.do?menuId=2000103
[중요] 2022 전세자금대출 분석(정부지원, 시중은행)